Skip to main content Skip to navigation
Pipette dripping a solution into test tubes with a cell image in the background.

알레르기

Overview
Down Arrow

알레르기는 면역체계가 위험하다고 감지하는 무해한 개체에 대한 면역 과민반응(과민성)입니다. 제1형 과민반응은 알레르겐에 대한 Ig-E 항체 생산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알레르기가 설명되어 있으며 식품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식물 성분(꽃가루) 알레르기, 동물성 제품에 대한 알레르기 등이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 증상으로는 피부 발적(접촉성 알레르기), 재채기, 쌕쌕거림, 부종 등이 있으며 과민성 쇼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항원 제시세포(예: 수지상세포), 비만세포, Ig-E 생산 B cell 및 T cell 등 immune cell의 여러 population이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합니다.

알레르기란?

대부분의 알레르기는 알려진 알레르기 항원에 의해 발생하지만 출처를 알 수 없는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알레르겐은 공기중(예: 꽃가루, 먼지)에서 전파되거나 섭취한 음식(예: 땅콩, 계란, 조개류), 섭취한 약물 또는 피부와 접촉한 물질(예: 라텍스, 벌레 물림)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다양한 유형의 과민반응

 

제1형 과민반응: 아나필락시스 반응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도 알려진 제1형 과민반응의 특징은 빠른 Ig-E 항체 생산입니다. 이러한 Ig-E는 비만 세포와 호염기구에 결합하여 히스타민 함유 과립 방출을 유도합니다. 제1형 과민반응의 예로는 음식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 아토피성 습진, 약물 알레르기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있습니다.1

 

Diagram showing cellular hypersensitivity to allergens.
apps1
Diagram illustrating allergens and chemotaxis and how they interact with other cells.
apps1
Illustration comparing non-asthmatic and asthmatic lungs.
apps1

제 1 형 천식에서 Ig-E는 비만세포와 결합하여 histamines과 leukotrienes을 방출하여 알레르기성 염증반응과 탈과립 과정의 특징인 호산구 염증을 유발합니다. 이것은 또한 IL-4 및 IL-5와 같은 염증성 cytokine의 방출을 동반합니다2

제2형 과민반응: cytotoxic

제2형 과민반응의 특징은 complement cascade와 phagocytosis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세포표면 항원에 결합하는 Ig-M 및 Ig-G 항체입니다1. 제2형 과민반응은 류마티스 질환의 자가면역 호중구 감소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Diagram showing cytotoxic cell attacking a target cell and causing an immune complex.
performance1

제3형 과민반응:  면역 복합체 반응

제3형 과민반응은 면역 복합체  반응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Ig-M 및 Ig-G 항체를 포함하지만 soluble 항원과 반응합니다. Complement system도 활성화되고, 화학요법에 의한 호중구는 국소 염증과 조직 손상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과민반응은 혈청병 관절염 및 사구체 신염에서 관찰됩니다. Ig-A와 같은 다른 유형의 항체도 제3형 과민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면역글로불린 A 신증으로도 알려진 버거병에서 신장 손상은 Ig-A 침전물 및 국소 염증과 관련이 있습니다.3

 
Diagram showing neutrophil cells and their complement activation.
performance1

제4형 과민반응: 지연반응

네 번째 유형의 과민반응은 지연성 과민반응 (DHR)으로 분류되며 항원 특이적 T cell의 infiltration을 특징으로합니다. Infiltrating T cell을 기반으로 각각 Th1, Th2, T- effector 및 GM-CSF 생산 T cell과 연관된 제4형 IV-a, -b, -c, -d로 제4형 과민반응의 subtype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4

 

 
Diagram showing t helper-type attacking a target helper-type and causing an immune complex.
performance1

참고문헌

  1. Justiz Vaillant AA, Vashisht R, Zito PM.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In: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August 16, 2020.

  2. Peebles RS, Jr, Aronica MA. Proinflammatory pathways in the pathogenesis of asthma. Clin Chest Med. 2019;40(1):29-50. doi:10.1016/j.ccm.2018.10.014

  3. Stanley JC, Deng H. Progress in pathogenesis of immunoglobin A nephropathy. Cureus. 2020;12(6):e8789. doi:10.7759/cureus.8789

  4. Meng X, Yerly D, Naisbitt DJ. Mechanisms leading to T-cell activation in drug hypersensitivity.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18;18(4):317-324. doi:10.1097/ACI.0000000000000458
Types of Allergy
Down Arrow
Assays for Allergy Research
Down Arrow

연구용입니다. 진단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Alexa Fluor는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의 상표입니다. CF는 Biotium, Inc.의 상표입니다.